February 26, 2007

성경해설 (사순 제 1주 : Lent 1'st week)_1

본 포스트의 내용은 대구 대교구 구미 신평본당에서 만들고 배포한 성경 해설의 내용을 그대로 올립니다.
원 자료 작성 : 신평 천주교회 교육위원회 (자료 : 성서와 함께)


신명기 (총 34장, 959절)


  • 신명기란?
본래 히브리인들이 지은 신명기 이름은 책의 첫 구절인 "엘레 하 드바림 (이것은 ... 말이다)", 또는 줄여서 "드바림"이었어요. 그런데 70인 역 성서는 이 책을 "듀테노미온"이라 불렀어요. '두번째 율법'이란 뜻이지요. 아마도 그 번역자들은 이 책이 앞의 책에 나온 율법들을 반복해서 말한다고 생각해서 그런 이름을 붙인 것 같아요. 중국어 성서도 70인 역 성서의 추지를 따라, "하느님의 가르침을 되풀이하여 쓴 책"이란 뜻을 담은 "신명기(申命記)"라 지었어요. 우리말 성서 이름도 그 이름을 그대로 옮긴 것이구요.

누가 언제 썼나요?
신명기의 저자도 분명치 않아요. 그렇지만 신명기는 오경의 첫 네 권과는 다른 저자가 쓴 것입니다.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, 신명기는 여호수아서, 판관기, 사무엘 전후서, 열왕기 전후서까지 이어지는 긴 역사서 (흔히 신명기계 역사서라 부름)의 첫 부분에 해당 되어요. 그러면 누가 이 긴 역사서를 썼는가? 그들의 정체는 분명치 않지만, 학자들은 편의상 '신명기 사가' 또는 '신명기 학파'라 부릅니다. 그들이 신명기에 처음손댄 때는, 신명기를 꼼꼼히 살펴볼 때, 북 이스라엘은 멸망하고 남 유다는 존속하고 있었던 기원전 7세기경으로 여겨져요. 아마도 그들은 멸망의 위기에 처한 유다를 하느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새롭게 세우려는 선각자들이었다고 할 수 있어요. 신명기는 한 번에 다 쓰이지 않고 여러 차례 손질되면서 확충되었어요. 마지막으로 완성되고 모세오경의 마지막 권으로 묶여진 때는 기원전 5-4세기 경이죠.

왜 쓰여졌나요?
신명기는 한마디로 모세의 설교집이라 할 수 있어요. 모세는 광야를 거쳐오면서 행한 지난 날의 기억을 되살리면서, 약속의 땅에 들어가서는 더 이상의 잘못을 범하지 않도록 백성들을 간곡하게 타이르지요. 그가 이야기 하는 내용의 핵심은 언제 어디서나, 특히 위기에 처할 때에도 탈출(에집트)의 하느님 야훼만을 믿고 따르며 그 분이 일러주신 말씀과 율법을 준수해야 살 길이 열린다는 것이에요. 다시 말해 신명기는 이스라엘 율법의 최고 권위자인 모세의 입을 열어 이스라엘이 죽지 않고 '살 수 있는 길'을 제시한 거지요. 그리하여 광야 세대 뿐 아니라 후손들이 이러한 내용을 잘 알아 하느님께서 마련해 주신 땅에서 오래오래 평화롭게 살 수 있는 가르침을 역설하고 있답니다.

신명기는 왜 중요한 가요?
첫째, 오경의 한 부분이자 총정리 하는 글이기에 오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해요. 두 번째로, 앞에서 말했듯이 신명기는 신명기계 역사서의 머리글에 해당하기 때문에 신명기는 신약성서에 83회나 인용될 정도로 아주 많이 인용된 구약성서에요. 그런 점에서 신명기는 신구약성서를 잇는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어요.

[새김과 나눔]
신명기는 모세의 마지막 설교로 유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하느님의 사람의 유언을 듣는 마음으로 신명기를 다시 읽으시면서 그 느낌을 나누십시오.